신사도운동, 어떻게 볼 것인가?(2) - 개혁주의는 모두 은사종료론을 믿는가? - 손성무 목사(처음그교회)

관리자2
2021-01-22
조회수 875

신사도운동어떻게 볼 것인가(2) - 손성무 목사 (처음그교회)


[개혁주의는 모두 은사종료론을 믿는가?]


개혁신학이란 글자 그대로 종교개혁의 전통을 잇는 신학을 의미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보통 개혁신학 하면 칼빈주의의 전통에 서있는 장로교 중심의 은사종료론적인 관점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사실 이런 표현은 죄송하다왜냐하면 오늘날은 수많은 장로교회에서 성령의 초자연적인 은사들에 대해 열려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칼빈과 더불어 종교개혁의 두 기둥이라고 할 수 있는 마르틴 루터 같은 경우는 은사지속론자였다.(사실 루터는 칼빈보다 더 앞선 연배로 종교개혁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


루터는 본래 그의 성경관이 은사지속론이었을 뿐만 아니라그의 동역자이자 후배인 필립 멜랑크통이 심각한 질병에 걸렸다가 기도를 통해 극적으로 회복된 것을 경험하면서 병고침을 비롯한 초자연적인 은사들이 여전히 교회 가운데 역사하고 있음을 확신하였다.


 

 필립 멜랑크통

그러므로 우리가 개혁주의라고 할 때 그것을 은사종료론과 결부시키는 것은 논리적 비약이 되는 것이다


정확히 말해 개혁주의 신학자들 중 일부가 은사종료론을 주장하는 것이지 개혁주의 전체가 은사종료론을 주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20세기 이후 개혁주의에 속하는 상당수가 은사지속론을 받아들이며 지금도 교회 가운데 방언예언병고침 등의 은사가 나타나고 있음을 경험을 통해 믿고 있다그러므로 개혁주의 전통 가운데에서 은사종료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그들의 신학적성경적 기반은 점점 더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임을 부인할 수 없다.


 - 손성무 목사


8 1